[스크랩] DVD 복제 방지 기술
DVD라는 매체는 갖가지 7가지의 복사 방지 기술이 접목되어 있어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
그 어떤 형태로든 복사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분야는 2가지로서 흔히 매크로비젼이라고 알려진 Analogue Copy Protection System과
CSS (Content Scrambling System)입니다.
※ DVD 복제 방지 기술
1. Analog CPS ( 매크로비젼 ; Macrovision )
- 이것은 VCR로 복사할 때 composite video와 s-video 출력에 수직의 블랭킹 신호(vertical blanking signal : AGC)와 함께 modulated colorburst signal(colorstripe)을 집어넣어 VCR에서 재생시 화면이 이상하게 뒤틀리게 하는 방법으로 analog protection system(APS)라고도 합니다.
매크로 비젼은 몇몇 종류의 VHS 테입(월트 디즈니 등)에서 이미 적용되었던 복사방지법인데, DVD 복사방지에 이 기술이 적용되면서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매크로비젼이 적용된 소프트를 가정용 VCR로 녹화하려고 하면 화면이 흑/백으로 껌벅이거나 심한 노이즈가 낀 것처럼 뿌옇게 변하기 때문에 복사가 불가능하게 됩니다.
DVD 영상 정보에 포함된 트리거 비트에 의해 일어나므로 코딩되지 않은 타이틀에는 복사가 가능합니다. 초기 몇몇 DVDP에는 이 기능이 적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운 좋게도 VCR로 자유롭게 복사가 가능했으나, 현재 생산되는 DVD 플레이어는 모두 적용되어 있어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VCR에 녹화할 수 없습니다. 매크로 비젼은 사운드에는 적용되지 않고 단지 비디오에만 적용이 됩니다.
2. Content Scrambling System ( CSS )
- CSS는 DVD가 다른 매체와는 달리 PC에서 직접 재생되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로 복제될 가능성을 막기 위해 도입된 복사방지 장치입니다. CCS는 key 암호화 방식으로, 타이틀에 들어있는 key와 DVD 플레이어(DVDP)의 key를 가지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푸는 방식입니다. 1996년 일본 MATSUSHITA社안으로 시동이 걸린 CSS는, IBM이 PC의 SOFT DVD를 위한 해결책을 제시함으로서 완전히 표준으로 정착되었습니다.
400개의 암호키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든 DVD는 디스크 암호키와 타이틀 암호키에 의해서 내용이 저장됩니다. DVD를 복사할 때 레코더에서 디스크 암호키가 바뀌므로 재생할 경우 플레이어에서 디스크암호키와 타이틀 암호키가 달라 암호를 풀수 없어 내용을 재생할 수 없게 되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가장 강력한 이방법은 1999년 10월 노르웨이의 한 소년 프로그래머가 소속된 해킹 그룹에서 개발한 DeCSS라는 프로그램에 의해 CSS 암호 체계가 해킹 됨으로써 DVD 업계를 떠들썩하게 했습니다.
3. CGMS
- CGMS는 CGMS 정보(CGMS/A)를 NTSC line 21에 집어넣어 디지털 캠코더나 컴퓨터 비디오 카드에서 이 신호를 인지할 때 복사가 안되게 하는 방법입니다.
4. Content Protection for Prerecorded Media ( CPPM )
- CPPM은 DVD-Audio에 적용되는 방법으로 lead-in 지역에 디스크 암호키가 저장 되어 있고 album identifier와 비교하는 방법으로 CSS와 비슷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5. Content Protection for Recordable Media ( CPRM )
- 기록할 수 있는 공 DVD의 BCA 지역에는 64bit의 디스크 ID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공 DVD에 기록할 때 디스크 ID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 재생할때도 이 디스크 ID를 가지고 재생을 하게 되는데 다른 매체로 복사하였을때에는 이 디스크 ID가 없으니 암호를 풀수 없게 됩니다.
6. Digital Copy Protection System ( DCPS )
- A. DTCP(digital transmission content protection)
IEEE1394/FireWire에 적용하는 것으로 디지털로 연결되는 기기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할 때 전송하는 기기에서 DTCP로 암호화하고 받는 기기에서도 DTCP로 암호를 해독하게 됩니다.
B. XCA(Extended Conditional Access), MRJ technology, NDS, Philips
이것은 'copy freely', 'copy once', 'don't copy', 'no more copies' 등의 신호를 저장 내용에 집어넣어 복사할때마다 이 신호를 바꾸는 방식입니다. 예로 'copy once'신호를 가진 DVD가 복사할때 레코더에서 복사되는 DVD에 'don't copy'로 신호를 바꿔워 줍니다.
7. watermarking system
- DVD-Audio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디지털 오디오에 인간이 들을수 없는 노이즈를 집어넣어 이 노이즈를 인지했을 때 복사가 되지 않는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