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고살기/-- HDMI

hdmi 1.1 과 hdmi 1.3의 차이점(Lipsync)

조용함 2007. 11. 22. 18:14

Auto Lipsync Correction Feature

 

이부분은 hdmi 1.1에서 언급된 바 없고 hdmi 1.3에서 추가된 내용입니다.

 

TV의 video처리 지연시간 때문에 lipsycn 문제가 발생할수 있다.
이것을 보상하기위해 audio delay를 함으로써 정정  될수 있다.

 HDMI Auto Lipsync Correction기능은 SOURCE나 REPEATER가
 필요한 오디오 delay의 양을 자동적으로 결정가능하게 한다.
 
 1.EDID Latency Info
 
 HDMI Sink와 REPEATER는 전달되는 오디오와 비디오 사이에 동기를
 유지하는 최상의 방법을 결정하도록 EDID에 오디오와 비디오의 지연 정보를
 기록한다. 관련정보는 HDMI VSDB에 있다.
 지연(latency)값들은 시간의 양으로나타낸다.
 
 - 많은 TV들은 내부적으로 이러한 지연시간을 보상한다 이때 EDID에 나타난
 비디오와 오디오의 latency값은 같다.
 
 - lipsync를 지원하는 repeater는 downstream장비에 대한 latency뿐만 아니라
 repeater자신에게서 발생하는 latency를 함께 계산하여 upstream EDID에
 기록해야한다.
 
 - repeater가 비디오는 bypass하고 오디오는 downstream장비로 전달하지 않고
 repeater자신이 processing한다면 그때 upstrem EDID의 audio latency는
 repeater자신의 audio processing latency와 같다.
 
 - repeater가 downstrem video latency 에 대해 audio delay를 추가하여
 충분히 보상한다면 그때 upstream audio/video latency는 같다.(delay가 없다는 의미)
  
 - 만약 video latency가 video format이나 다른 요인으로 인해 달라진다면
 video latency field에는 좀더긴 latency(longer latency)에 가까운 latency를
 나타내도록 한다
 오디오가 비디오보다 빨리 출력된다면 같은 시간동안 비디오가 오디오를
 앞서 출력하는것보다 좀더 확실히 유저가 느낄수 있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유저에게 좀더 좋은 maximum latency에 가까운 값으로 나타낸다.
 예를들어 (2*max_latency + min_latency)/3이 사용될수 있다.
 같은식으로 audio latency는 minimum latency에 가까운 값으로 정할수 있다.
  예를들어 (max_latency + 2*min_latency)/3 이 사용될수 있다
 
 즉 video latency가 클수록 오디오 delay가 커지므로 상대적으로 오디오가
 비디오보다 빨리 출력될 가능성이 줄어 든다.
 비디오의 latency(대기시간)이 길어진다는 의미는 audio의 delay가 그만큼
 커져야 한다는 의미이다.
 
 - interlaced video format에 대한 video latency최적값은 progressive video의
 최적값과 다르다. 이때 I_Latency_Fields_Present flag를 설정하면
 이러한 두가지 범주에 대해 서로 다른 latency를 가리키는 EDID를 허용한다.
 이런 방법은 언제든 사용가능하지만 두 latency가 30msec이상 차이가 날 경우에
 권장한다.
 
 2.Compensation
 
 - lipsync를 지원하는 SOURCE나 repeater는 video_latency - audio_latency 만큼
 downstream video latency를 보상하기 위해 오디오 delay를 할수 있다.
 
 - SPDIF나 analog output같은 non-HDMI audio output의 audio latencys는 결정하기 힘들다
 * uncompressed ausio format에 대해선 대부분 zero에 가까운 값일 것이고
 downstream EDID에 video latency양에 따라 쉽게 delay를 줄수 있다.
 * compressed audio에 대해서는 IEC61937-x나 vendor의 문서에 나타난
 표준 decompression latency에 가깝게 audio latency를 정할수 있다.
 
 - 100msec audio delay능력을 가지면 대부분의 TV나 video processor에
 대응할수 있을것이다.
 
 - progressive video에서는 Video_Latency와 Audio_Latency가 사용되고
 interlaced video format에 대해서는 Video_Latency와 Audio_Latency가 사용되거나
 I_Latency_Fields_Present = 1 이면 Interlaced_Video_Latency와
 Interlaced_Audio_Latency 가 사용된다.
 
 3. Supporting Dynaminc Latency Changes
 
 차후 버전에서 dynamic latency를 지원할것이다.
 
 4. Seperate Audio and Video Paths
 
 - SOURCE나 Repeater가 audio와 video출력이 분리 되어 있다면
 video path의 EDID로부터 video latency에서 audio path의 EDID로 부터 읽은
 audio latency를 뺀 만큼 audio delay를 계산해야 한다.
 
 - Source는  별도의 오디오 혹은 비디오가 경로상에서 지원되는지를 자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no-video값이나 이에 상응하는 no-audio값을 사용해야 할것이다.
 
 - video latency field에서 no-video값은 Sink가 video signal을 처리 않거나
 받은 HDMI video signal을 HDMI출력이나 no HDMI출력으로  출력하지 않는것을
 허용한다.
 TV에서는 이런일이 있을수 없지만 audio amp등에서는 가능하다.
 
 - video 출력을 않는 Repeater에 대해 repeater의 출력에 대해 아무런 downstrem
 장비가 연결 되어 있지 않다면 그때 Repeater는 no-video값(0xff)을 표시해야 한다.
 만약 downstrem장비가가 연결되어 있지만 그것들이 no-video latency라면
 Repeater또한 no-video값을 나타내야 한다.(어디에? EDID에)


다음은 세미나 자료입니다